본문 바로가기

java3

[연산자] 부호/증감 연산자, 산술 연산자, 오버플로우, 언더플로우 3.1 부호/증감 연산자 부호 연산자는 변수의 부호를 유지하거나 변경한다. 연산식 설명 + 피연산자 피연산자의 부호 유지 - 피연산자 피연산자의 부호 변경 ※ 주의할 점은 부호 변경 후의 타입이다. byte b = 100; byte result = -b; //컴파일 에러 정수타입(byte, shor, int) 연산의 결과는 int 타입이다. 부호를 변경하는 것도 연산이므로 다음과 같이 int 타입 변수에 대입해야 한다. byte b = 100; int result = -b; 증감 연산자(++, --)는 변수의 값을 1 증가시키거나 1 감소시키는 연산자이다. 연산식 ++ 피연산자 피연산자의 값을 1 증가시킴 -- 피연산자 피연산자의 값을 1 감소시킴 피연산자 ++ 다른 연산을 수행한 후에 피연산자의 값을 .. 2023. 1. 14.
[변수] 변수란 (Variable)? 하나의 값과 타입을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의 공간. 수시로 값이 변동될 수 있다. 변수의 선언 프로그램은 변수 이름을 통해서 메모리 주소에 접근하고, 그곳에 값을 저장하거나 값을 읽는다. //1. 정수 값을 저장할 수 있는 age 변수 선언 int age; //2. 같은 타입의 변수는 콤마(,)를 이용해서 한꺼번에 선언할 수 있다. double x, y, z; 변수 명명 규칙 1. 첫 번째 글자는 문자이거나 '$','_'이어야 하고 숫자로 시작할 수 없다. (필수) 2. 영어 대소문자가 구분된다. (필수) 3. 자바 예약어는 사용할 수 없다. (필수) 4. 첫 문자는 영어 소문자로 시작하되, 다른 단어가 붙을 경우 첫 문자를 대문자로 한다.(관례) 5. 한글은 포함하지 않는다.. 2023. 1. 13.
JAVA - 객체 & 인스턴스 1. 멤버 변수 - 객체에 정의된 속성 - 형식 : 접근지정자 데이터타입 변수명; ex) public String name; 2022. 10. 2.